반응형 원경4 [원경] 역사 속 양녕대군와 충녕대군(세종) 충녕대군: 어마마마, 참으로 한양은 넓지 않습니까? 그 끝이 어디인지 보이지가 않습니다.원경: 넓다 하였느냐? 어째서?충녕대군: 가득 찬 백성 때문입니다. 농사짓는 백성, 가축을 키우는 백성, 굶는 백성, 질병에 시달리는 백성, 웃는 백성, 우는 백성원경: (너는...군왕이 되고 싶은 게로구나...) 가장 진행이 빠른 거처럼 느껴졌던 10화. 세자인 양녕대군의 기행과 방탕함에 실망하던 원경은 충녕대군에게서 군주의 모습을 봅니다. 11화 예고에 보니 원경이 태종에게 폐세자를 얘기하던데 진짜일까요?? 역사적으로는 태종이 폐세자를 언급했고 원경이 반대한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국 양녕대군이 폐위되고 충녕대군인 세자가 되자 폐세자의 운명을 예측한 원경왕후는 매우 슬퍼하며, 폐세자 된 양녕을 멀리 내치지 말고 .. 2025. 2. 9. [원경] 드라마에 나오는 인물들은 실존 인물?? 단순한 왕후가 아닌 킹메이커였던 원경왕후. 그녀의 당찬 지도자로서의 모습과 열등감과 책임전가, 비겁함의 끝판왕인 이방원을 보면서 여직껏 이방원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던 건지 궁금해졌습니다. 저처럼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거 같아 원경의 시대배경 및 인물이 역사적으로는 어떻게 평가되어 있는지 찾아본 것을 남깁니다^^ 물론 역사는 '승자들의 기록'이니 저희가 진실을 알 수는 없겠지만요~ >.1. 이방원(1367년~1422년)조선의 3대 국왕 태종.조선 태조 이성계와 정부인 신의왕후 한 씨의 5번째 아들로 태어나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1차 왕자의 난(1398년): 원경왕후의 친정인 민 씨 일파는 이방원에게 반정을 독려하고 이방원은 처남인 민무구, 민무질을 비롯해 익안대군 방의와 회안대군 방.. 2025. 1. 8. [원경] 1월 7일(화) 방영_2회 상세리뷰 채령과 왕의 합궁 동안 원경은 "이 나라에서 나는 왕이고, 그대는 신하요"라는 이방원의 말을 곱씹으며, 혼인 전 자유로이 함께 말을 달리며 "그대의 그 모든 순간을 곁에서 지켜주고 싶소"라 말하던 이방원을 떠올립니다. 승은 다음날, 상궁 첩지를 받았으나 죄책감과 비참함으로 눈물짓는 채령. 어미가 버리고 가서 장에서 도둑질을 하던 채령을 원경이 거두었고, "여자라고 힘이 없다고 무시받고 차별받지 않아도 되는 그런 세상에서 살게 해 줄게"라던 원경의 말을 회상합니다. 원경은 제조상궁에게 채령은 궁궐의 법도대로 예우하고 다른 궁녀들이 무시할 수 없게 기강을 잡으라 당부합니다. 또한 원경은 채령이 훔쳐서 처음 인연이 되었던 머리꽂이와 비단옷도 채령에게 내려줍니다. 채령은 원경을 찾아가 죽을 죄를 지었다며 무릎.. 2025. 1. 7. [원경] 1월 6일(월) 방영_첫방 상세리뷰 개요: 사극/로맨스/12부작오픈: 2025.01.06편성: tvN 월화 오후 8:50 정규출연: 차주영, 이현욱, 이이담, 이시아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제이에스픽쳐스 "1차 왕자의 난(1398년), 이성계의 5남 이방원은 이복동생 세자 이방석을 죽이고 권력을 장악한다. 그러나 이 일로 이성계와의 관계는 돌이킬 수 없게 된다. 2차 왕자의 난(1400년), 이성계의 4남 이방간이 난을 일으키자, 동복의 형제와 싸울 수 없다는 이방원에게 부인 민씨가 갑옷을 입혀 물리치게 하면서,이방원은 마침내 왕위에 오른다. 거사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부인 민씨는 훗날 원경왕후가 된다." 1400년 개경 수창궁, 정빈 민 씨의 책봉식. "주상께서 큰 계획을 잇게 한 것 또한 내조의 힘을 많이 입었다."라는 중용의.. 2025. 1. 7. 이전 1 다음